티스토리 뷰
목차
지금도 누군가는 홀로 아이를 키우며 경제적, 정서적 부담을 견디고 있습니다. 한부모가족이라면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생각보다 훨씬 많다는 걸 아시나요? 정부의 복지제도를 모르고 지나치는 일이 없도록, 오늘 꼭 확인해 보세요!
간단한 조건만 충족하면 매달 양육비부터 교육비, 생계비까지 다양한 지원이 가능합니다. 이 글에서 모든 혜택을 이해하고,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.
어쩌면 이 정보가 여러분 또는 여러분의 이웃의 삶을 바꾸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.
한부모가족 복지, 누가 받을 수 있을까?
한부모가족 복지 대상자는 '18세 미만 자녀(또는 고등학생의 경우 22세 미만)'를 홀로 양육하고 있으며, 가구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63% 이하인 경우 해당됩니다. 조손가족도 포함되어 있어 외(조)부모가 손자녀를 양육하는 경우에도 지원 가능합니다.
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을까?
지원 항목은 아동양육비, 추가양육비, 교육지원비, 생계보조비로 나뉩니다. 특히 아동 1인당 월 23만원의 양육비를 기본으로, 청년 한부모나 조손가정의 경우 추가 양육비가 더해집니다. 초·중·고교생 자녀에겐 학용품비(연 9.3만원)도 지급됩니다.
2025년 지원기준 중위소득표
가구별로 적용되는 기준 중위소득과 지원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
가구 규모 | 2025년 중위소득 | 지원 대상 소득기준 (63%) |
---|---|---|
2인 가구 | 3,932,658원 | 2,477,575원 |
3인 가구 | 5,025,353원 | 3,165,972원 |
4인 가구 | 6,097,773원 | 3,841,597원 |
5인 가구 | 7,108,192원 | 4,478,161원 |
6인 가구 | 8,064,805원 | 5,080,827원 |
지원금 상세 내역 정리
다양한 가정의 형태에 따라 지원 항목이 구체적으로 나뉩니다. 아래 표에서 정확한 금액을 확인해 보세요.
지원 종류 | 대상 | 금액 |
---|---|---|
아동양육비 |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63% 이하 가구의 18세 미만 자녀 | 월 23만원 |
추가양육비 (조손/35세 이상 미혼) | 5세 이하 아동 | 월 5만원 |
추가양육비 (25~34세 청년 한부모) | 5세 이하 아동 | 월 10만원 |
추가양육비 (25~34세 청년 한부모) | 6세 이상~18세 미만 아동 | 월 5만원 |
교육지원비 (학용품비) | 초·중·고 학생 | 연 9.3만원 |
생계비 (생활보조금) | 시설 입소 가구 | 월 5만원 |
누가 제외될 수 있나요?
기존 복지제도에서 이미 지원을 받고 있는 경우에는 중복 지원이 제한됩니다. 예를 들어, 아동복지법에 따라 위탁양육비를 받고 있거나,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교육/생계 급여를 받고 있는 경우 해당 항목에서는 제외됩니다.
신청방법은?
신청은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나 복지로 홈페이지(www.bokjiro.go.kr)에서 온라인으로 가능합니다. 연중 접수 가능하며, 초기 상담 → 소득조사 → 서비스 결정의 절차를 거칩니다.
필요 서류는?
신청 시에는 사회복지서비스 신청서, 소득 확인서류(임대차 계약서 등),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가 필요합니다. 자세한 서류는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에 문의하세요.
Q&A
Q1. 중위소득 63%는 어떻게 계산하나요?
A. 중위소득은 매년 정부가 발표하는 가구당 평균소득입니다. 2025년 기준으로 4인 가구의 경우 6,097,773원의 63%, 즉 3,841,597원 이하라면 해당됩니다.
Q2. 고등학교 재학 중인 자녀도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?
A. 네, 고3 재학 중이라면 만 22세까지도 자녀로 인정되어 지원 대상이 됩니다.
Q3. 맞벌이 중인데, 지원 대상이 될 수 있나요?
A. 맞벌이라도 전체 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63% 이하라면 가능합니다. 소득인정액 계산은 자산과 소득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.
Q4. 청년 한부모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?
A. 25세 이상 34세 이하의 부모가 18세 미만 자녀를 키우는 경우 ‘청년 한부모’로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Q5. 한부모가족증명서는 어떻게 발급하나요?
A.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하거나 정부 24를 통해 온라인으로 발급 가능합니다.
글을 마치며
한부모가족의 자립을 위한 정부의 지원은 생각보다 다양합니다. 중요한 건 '지금' 확인하고 '바로' 신청하는 것입니다. 놓치면 손해입니다. 도움이 필요한 이웃이 있다면 반드시 이 정보를 공유해 주시기 바랍니다.
신청은 어렵지 않습니다. 단 한 번의 확인으로 여러분의 삶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